CIOs tackle the AI change management challenge

Every Monday at 7 a.m., a cohort of Principal employees jump on a Teams call for a quick study group. Typically chaired by the chief digit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officer (CDAIO) or someone else on the team, the 300-plus and growing learning community digs into the technology, cultural, and organizational impacts of generative AI. There…

칼럼 | 매년 반복되는 클라우드 장애, 기업 스스로의 대비가 해답이다

필자는 한 주요 클라우드 벤더가 주최한 지역 클라우드 컴퓨팅 서밋에서 발표를 요청받은 적 있다. 발표 주제는 퍼블릭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회와, 그에 따르는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에 관한 것이었다. 그런데 행사 직전, 클라우드 장애와 벤더 과의존의 위험성을 다룬 내 발표 슬라이드 세 장을 삭제해야 한다는 이메일을 받았다. 장애를 언급하는 내용이 주최 측의 ‘신뢰성’ 메시지와 맞지 않는다는…

4단계 리스크 시대··· 공급망의 ‘포스파티’ 위험 관리 전략은?

포스파티 벤더가 공급망 사이버보안의 주요 사각지대로 떠오르고 있다. 포스파티는 보통 벤더와 계약을 맺은 업체를 의미하며, 서드파티와 달리 기업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조직의 시야 밖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가시성과 통제력이 매우 제한적이다. XYPRO의 최고정보보안책임자(CISO)인 스티브 체르치안은 “대부분의 CISO는 포스파티 리스크에 소극적인 태도로만 접근한다. 직접적인 통제권이 없기 때문에 이를 블랙박스처럼 다루는 것이다. 그러나 벤더의 핵심 의존 관계를 명확히…

EU, AI 규제 ‘실무지침’ 적용 연기 가능성··· 주요 기업 “AI 법 시행 늦춰야”

EU가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AI 규제의 ‘실무 적용 지침서’ 적용을 2025년 말로 늦출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로 인해 주요 기업들은 구체적인 규제 시행 시점을 앞두고 법적 불확실성에 놓이게 될 전망이다. 이번 실무 지침은 오픈AI의 GPT-4를 포함한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구글, 미스트랄(Mistral)의 모델에 적용되며, 당초 지난 5월 초 공개될 예정이었다. 유럽집행위원회(EC) 대변인은 앞서 로이터 통신을 통해 “해당…

에이전틱 AI, 금융·유통·헬스케어 산업에서 두각

에이전트 기반 AI는 IT 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술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가트너는 이 기술이 ‘과도한 기대의 정점’을 향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고 분석했으며, 실제 생산성의 정점에 이르기까지는 5~10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IDC 역시 이와 유사한 시각을 보이며, 현재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것은 AI 어시스턴트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자율형 에이전트가 주도권을 가져갈 것이라고 진단했다. IDC는 향후 10년 이내에 AI…

오라클, 오픈AI에 4.5GW 전력 공급···“CIO 전략에도 직접적 영향줄 것 ”

오픈AI가 오라클과 4.5GW(기가와트) 규모의 데이터센터 전력 임대 계약을 체결했다. 업계에서 손꼽히는 최대 규모의 단일 임대 계약이다. 이번 확장은 오픈AI가 운영하는 ‘스타게이트(Stargat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미국이 범용 인공지능(AGI) 개발을 추진하는 데 필요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 프로젝트에는 향후 4년간 총 5,000억 달러(약 683조 원)의 투자가 계획돼 있으며, 오라클은 이 전략적 계획의 핵심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다. 블룸버그의…

AI 매일 사용하면 생산성·집중력 더 높다··· 슬랙 “AI 활용은 시간을 절약 아닌 재분배”

슬랙(Slack)이 전 세계 사무직 근로자(desk worker) 5,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최신 슬랙 워크포스 인덱스(Slack’s latest Workforce Index)’를 발표했다. 인덱스에 따르면 최근 6개월 동안 사무직 근로자들의 일일 AI 사용량이 2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SLACK 단순하게 AI를 사용하는 사람의 수만 많아진 것이 아니라, 이런 변화가 업무 성과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AI를 매일…

서울AI재단, AI미래위원회 출범··· ‘전문가 13인 참여’

지난 2월 오세훈 서울시장이 ‘글로벌 AI 혁신 선도 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한 7대 비전을 발표한 가운데, 서울AI재단(이사장 김만기)은 비전 실행을 위한 구체적 전략을 수립해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AI위원회는 AI 전략 수립을 위해 서울AI재단이 조직한 자문기구로, 기획 초기 단계부터 실질적이고 구체적 방안을 제시해 서울시 AI 전략의 실행력을 높일 예정이다. 위원회는 AI 분야의 산·학·연 전문가 13인으로 구성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