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허브+제미나이+에이전트 조합으로 승부”··· 구글, AI 코딩 도구 ‘줄스’ 공개

Google 줄스는 제미나이 2.0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설계된 제품이다. 구글은 2023년 이미 AI 코딩 도구인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트(Gemini Code Assist, 구 Duet AI for Developers)’를 출시한 바 있는데, 이 제품은 주로 코드 제안, 자동완성, 오류 식별 및 수정에 특화됐다. AI 코딩 도구로 자리 잡고 있는 깃허브 코파일럿과 경쟁하는 핵심 제품이다. 구글은 공식…

가트너 기고 | AI 데이터센터 전력 문제, 지금부터 대비해야

‘AI 시대’라는 말이 새삼스러워질 정도로 우리는 AI의 영향을 목도하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의 등장과 대중화는 AI 시대의 시간표를 더욱 가속하고 있으며, 생성형 AI를 뒷받침하는 대규모언어모델(LLM)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LLM 학습과 구현에 필요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새로운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들의 건설 역시 빠르게 추진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전력 수요 역시 급증해 현재 전력 공급 능력을…

가트너, 상위 5% 기업을 구분 짓는 5가지 실행안 제시

“대부분의 CFO는 2024년과 2025년을 비교할 때 소속 업종의 시장 성장률이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응답자의 4분의 3은 2025년 예산 시나리오 계획에서 하락 리스크(downside risk)와 비용 억제(cost containment)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 가트너가 ‘2025년 CFO의 최우선 과제(The Top Priorities for CFOs in 2025)’ 웨비나에서 250명의 CFO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CFO들은 매출 성장 둔화,…

한국IDC, 국내 데이터센터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3가지 해결과제 발표

한국IDC 한국IDC는 최근 발간한 ‘IDC 설문조사: 국내 데이터센터 운영 주요 도전과제 (IDC Survey Spotlight – What are the most significant challenges affecting South Korea datacenters in 2024)’ 보고서에서 국내 기업들이 데이터센터 운영과 관련하여 숙련된 노동력, 공간 제약, 보안 및 규제 영역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생성형AI로 인한 데이터센터 수요가 증가하고…

Learning from the AI leaders

AI adoption is still nascent. Newly released research from SAS’s Data and AI Pulse Survey 2024 Asia Pacific finds that only 18% of organisations can be categorised as AI leaders, where the organisation has an AI strategy and long-term investment plans in place.  Research from IDC predicts that we will move from the experimentation phase,…

구글, 최신 양자 컴퓨팅 칩 ‘윌로우’ 공개··· “오류 수정에 획기적 발전”

양자 컴퓨터의 혁신적 잠재력 실현은 오류 수정과 컴퓨팅 성능이라는 2가지 핵심 문제로 인해 아직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양자 컴퓨팅 기본 정보 단위인 큐비트(양자 비트)의 품질이 장시간 계산을 수행하기에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구글 퀀텀 AI 연구소의 설립자이자 책임자인 하트무트 네븐은 새로운 양자 칩 윌로우를 통해 2가지 획기적인 발전을 이뤘다고 설명했다. 첫째, “윌로우는 큐비트 수를 늘릴…

보안 운영에서 급증하는 생성형 AI 사용례··· 우려할 점은?

많은 CISO가 수작업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생성형 AI를 보안 도구에 빠르게 통합하고 있다. 그러나 한 연구에 따르면, 생성형 AI 도입 급증은 우려를 동반한다. CISO는 생성형 AI를 보안 운영에 통합할 때 이런 신중한 시각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생성형 AI를 일찍이 도입한 기업은 이 기술을 사용해 보안 워크플로를 자동화하고 가속화하며 사고 대응 능력을 개선하고 있다.…

칼럼 | 비즈니스 팀이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개입하지 않아야 하는 이유

지난 10년간 필자는 웨이브메이커(WaveMaker)를 구축하면서 로우코드가 기적적으로 비즈니스 사용자가 풍부한 기능을 갖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는 사용자의 기대를 항상 마주했다. 가능하기는 하지만 항상 그럴 수는 없는 기대였다. 왜 그런 기대가 생겨났을까? 2021년 가트너는 2023년까지 대기업에서 활동하는 일반 시민 개발자가 전문 소프트웨어 개발자보다 4배 더 많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아직 현실화된 예측은 아니지만, 시민 개발 프로그램은 진지한 비판적 관심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