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승엽 DX사업본부 본부장은 “2025년부터 기업들은 AI의 투자수익률(ROI) 확보를 위해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통한 성과 도출과 수익화 모델 발굴에 치열한 경쟁을 펼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은 축적된 데이터·클라우드·스토리지 인프라 기술력과 글로벌 파트너사 생태계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AX 솔루션을 제공해 고객의 AI 전략 수립을 지원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진석 데이터사업팀 팀장은 “기업의 디지털 전환(DX) 투자가 AI 전환(AX)으로 진화하면서, AI가 산업 전반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았다”라고 진단했다. 이런 흐름 속에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은 고객의 AI 프로젝트를 위해 고성능 AI 스토리지, 고속 네트워크, AI/ML옵스 솔루션 등 첨단 인프라를 제공해왔다. 앞으로는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고객이 비용 효율적으로 인프라를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진석 팀장은 “데이터센터 운영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저전력 ARM 서버와 최신 리퀴드 쿨링 방식을 지원할 것”이라며 “또한 엔비디아 GPU 수급난과 비용 부담을 겪는 고객사를 위해 다양한 GPU를 효율적으로 통합 운영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주상 클라우드사업팀 팀장은 AI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PaaS 플랫폼의 중요성이 급부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박주상 팀장은 “현재 전 세계 AI 소프트웨어의 90%가 PaaS 방식으로 개발·운영되고 있으며, IDC의 최신 조사에 따르면 70% 이상의 기업이 PaaS 플랫폼 투자를 대폭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PaaS 플랫폼으로 고객은 다운타임을 최대 95% 줄이고, 사용자 증가 시 인프라 확장이 가능하며, MSA 기반의 신속한 개발 환경 등 차별화된 장점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은 IaaS 중심이었던 클라우드 사업을 PaaS 영역으로 확장해 고객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박주상 팀장은 “레거시 애플리케이션의 컨테이너 전환 지원부터 CI/CD 플랫폼 제공, 안정적 인프라 기반의 어플라이언스 형태 구축, 전문 컨설팅을 통한 사전 아키텍처 설계, 물리·IaaS·PaaS를 아우르는 원스톱 기술 지원까지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미 대형 병원의 의료 AI 시스템, 유통업체의 상품 추천 서비스,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 검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적인 도입 사례를 창출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김동혁 SA팀 팀장은 스토리지 부문에서 ‘VSP 원(One)’ 전략을 통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김동혁 팀장은 “블록, 파일,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단일 플랫폼으로 완벽하게 통합하고 관리 소프트웨어를 일원화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제공한다”라며 “최근 늘어나는 쿠버네티스 환경에 대한 수요에 대응해 CSI(Container Storage Interface) 드라이버를 통한 다양한 스토리지 환경 지원을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동혁 팀장은 ESG 경영 측면에서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IT 제품의 ESG 성능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히타치 벤타라 스토리지는 전 제품이 국제 탄소발자국 인증인 CFP를 획득했다”라며 “하드웨어 기반의 첨단 압축·중복제거 기술로 전력 효율을 극대화하는 등 실질적인 친환경 기술을 제공해 고객의 ESG 전략 실현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신승엽 본부장은 “AI ROI 극대화를 위해서는 GPU를 포함한 AI 인프라의 비용 효율적 운영이 핵심 관건”이라며 “효성은 관련 솔루션을 엔드투엔드로 통합 제공하며, 업계를 선도하는 저전력 ARM 서버와 리퀴드 쿨링 기술 투자로 시장의 미래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분야와 규모에 관계없이 모든 고객사가 AI 시대의 새로운 도약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라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Read More from This Article: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AX 중심 2025년 전략 공개··· 저전력 ARM 서버·PaaS 플랫폼 확대
Source: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