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에서는 가벼운 프레임과 헤드업 디스플레이 및 AI 기반 비서와 같은 기능을 결합한 다양한 스마트 글래스 제품들이 관심을 끌었다. 이 범주의 기기는 2024년 초에 화제를 불러일으켰던 메타의 퀘스트 3와 애플의 비전 프로 등 더 무거운 혼합현실 헤드셋과 대조를 이룬다.
2024년에는 애플의 비전 프로 헤드셋이 많은 주목을 받았지만, CES 2025에서는 더 가벼운 스마트 글래스가 대세였다.
JLStock / Shutterstock
테크스포넨셜의 사장 겸 수석 애널리스트인 아비 그린가트는 “올해 헤드셋보다는 스마트 글래스에 더 초점을 두는 동향이 선명했다. 작년에 레이밴 메타 스마트 글래스의 인기가 한 원인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스마트 글래스는 가벼운 폼 팩터와 기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의도적인 절충’이 이뤄지곤 한다. “이러한 절충에의 접근법은 공급업체마다 다르다”라고 그린카드는 말했다.
.
예를 들어, 할리데이의 스마트 글래스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착용자의 시야에 직접 투사한다. 용자 시야의 오른쪽 상단에 나타나는 3.5인치 화면의 형태다. 할리데이튼 해당 화면이 밝은 햇빛 아래에서도 잘 보인다고 주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에 블루투스로 연결돼 동작하는 ‘능동적’ AI 비서는 최대 40개 언어의 실시간 번역, 실시간 길 안내, 텔레프롬프터 스타일의 메모 표시와 같은 기능을 지원한다.

할리데이의 스마트 글래스는 세 가지 색상으로 나온다.
Halliday
할리데이 스마트 글래스의 무게는 1.2온스(약 34g)다. 1.7온스(DIR 48g) 무게의 메타 스마트 글래스보다도 훨씬 가볍다. 할리데이의 스마트 글래스는 현재 489달러의 가격에 선주문할 수 있으며, 올해 1분기 말부터 배송이 시작될 예정이다.
이븐 리얼리티스도 599달러부터 시작하는 간결한 디자인의 G1 스마트 글래스를 선보였다. 각 렌즈에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비추는 마이크로 LED 프로젝터가 부착된 형태이며, 실시간 번역과 내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AI 어시스턴트가 포함되어 있다. 스마트폰과의 페어링이 필요하다.
이 분야의 또 다른 업체인 로키드(Rokid)는 최근 종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가벼운 무게(1.7온스 ; 약 48g)의 글래시스(Glasses)를 발표했다. 간단한 녹색 텍스트 디스플레이와 지능형 어시스턴트와 함게 이미지 및 동영상 촬영을 위한 1200만 화소 카메라가 안경테에 내장되어 있는 기기다.
메타의 레이빈 파트너인 에실로룩소티카(EssilorLuxottica)가 소유한 뉘앙스 오디오(Nuance Audio)는 보청기를 안경테에 통합한 이색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누군가의 말을 좀 더 잘 들을 필요가 있을 때 안경을 켜면 안경이 보고 있는 사람의 소리를 증폭하여 귀를 겨냥한 안경 줄기의 스피커로 전달한다”라고 그린가트는 설명했다.
한편 메타가 올해 말 레이밴 디바이스의 업데이트 버전을 출시할 예정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다. 이 버전에는 메타의 AI 비서의 알림과 응답을 표시하는 간단한 디스플레이가 탑재될 것으로 알려졌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메타는 현재까지 100만 개 이상의 레이밴 스마트 글래스을 판매했다.
IDC의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팀의 리서치 디렉터인 라몬 라마스는 “이러한 안경형 기기의 대부분은 공공장소에서 착용하기 무난한 것들이다. 마침내 부피가 덜 커 보이는 디자인이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스타일이 등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엑스리얼(Xreal)의 원 프로(One Pro)와 TCL의 레이네오 X2(RayNeo X2)도 있다. 스마트 글래스보다 ‘증강현실’을 강조하는 이들 안경형 기기는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에 테더링하여 동영상을 시청하고 앱에 액세스할 수 있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역할을 하기도 한다. 단 더 무겁다.
최근 IDC 통계에 따르면 스마트 글래스에 대한 수요는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2028년까지 출하량은 연평균 85.7%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확장현실’ 디바이스는 곧 광범위한 AR/VR 시장에서 두 번째로 큰 카테고리가 될 전망이다.

Apple의 비전 프로 및 메타의 퀘스트와 같은 혼합현실 헤드셋이 AR/VR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이며, 확장현실 스마트 글래스가 2위를 차지할 것이라고 IDC는 전망했다.
IDC
CES에서 선보인 기기 다수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지만, 일부 기업용 스마트 글래스도 있다. 뷰직스(Vuzix)가 대표적이다. 라마스는 기술 발전에 따라 스마트 글래스의 비즈니스 활용 사례가 점점 더 다양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예를 들어 핸즈프리로 시각 정보를 캡처하거나 실시간 번역을 할 수 있어 출장자에게도 유용할 수 있다.
“비즈니스 앱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경우, 특히 해당 앱에 말을 걸어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스마트 글래스가 이를 처리할 수 있다면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본격화까지는 멀었다고 본다. 현재로서는 스마트 글래스가 주로 기술 애호가와 코그노센티 같은 소비자의 영역에 속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그는 말했다.
[email protected]
Read More from This Article: CES 2025에서 다수 선보인 ‘스마트 글래스’··· 매력도 풍성
Source: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