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스퍼드 대학의 연구진이 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두 개의 개별 양자 프로세서를 연결함으로써 분산형 양자 컴퓨팅을 처음으로 시연하는 데 성공했다. 광섬유를 사용하여 퀀텀 비트를 서로 분리된 모듈에 얽히게 한 것이다. 즉 양자 순간이동(quantum teleportation)을 통해 분리된 모듈 사이에서 퀀텀 논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미세한 퀀텀 단위들을 연결할 수 있는데, 이는 대규모의 퀀텀 컴퓨터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로 이어진다.
양자 컴퓨팅 분야는 오랜 기간 확장성 문제와 씨름해왔다. 양자 연산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도약하려면, 다수의 양자 큐비트를 함께 묶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컴퓨터의 크기가 엄청나게 커야 했다. 연구진은 작은 양자 장치를 함께 연결함으로써 이 방대한 처리 규모를 분산 네트워크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연구팀의 수석 연구원인 데이비드 루카스 교수는 “네트워크 분산 양자 정보 처리가 현재의 기술로도 가능하다는 점이 이번 실험을 통해 입증됐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양자 컴퓨터의 규모를 확장하는 것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새로운 물리적 통찰력과 집중적인 공학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어려운 기술적 과제다’라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Read More from This Article: 옥스포드 연구진, ‘양자 순간이동’ 이용한 분산형 양자 컴퓨팅 시연
Source: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