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데이터 레지던스 정책은 챗GPT 엔터프라이즈(ChatGPT Enterprise), 챗GPT 에듀(ChatGPT Edu), API 플랫폼(API Platform)에 대해 엔터프라이즈급 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 보안 및 규정 준수 기능을 기반으로 제공된다. 챗GPT 엔터프라이즈와 챗GPT 에듀를 사용하는 아시아 고객은 챗GPT의 작업 공간을 해당 지역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 생성한 콘텐츠를 설정한 지역에 저장할 수 있다.
API 플랫폼을 이용하는 고객은 API 플랫폼 대시보드에서 새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원하는 국가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데이터 레지던시를 활성화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API 플랫폼에 대한 데이터 레지던시가 활성화되면 데이터가 선택한 리전에 저장되게 된다.
데이터 레지던시 기능이 있는 리전에 챗GPT의 작업 공간이 할당되면, 대화(텍스트, 이미지, 음성), 코드 인터프리터 및 데이터 분석 아티팩트 파일(업로드된 이미지, 문서), DALL·E 이미지 생성 입력/출력, 챗GPT 메모리(저장된 대화 컨텍스트), 사용자 정의 GPT(관련 프롬프트/출력), 캔버스(협업 작업 공간 콘텐츠)가 해당 지역에 저장된다.
그렇다고 모든 데이터가 지역 리전에 저장되는 것은 아니다. 작업 공간 메타 데이터(작업 공간 이름, 결제 정보, 사용자 로그인), 타사 서비스(웹 검색), 서비스 기능에 필요한 일시적인 정보 등은 선택한 리전 외부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데이터는 해당 지역 외부에서 일시적으로 처리되거나 보관될 수 있으며,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면 자동 삭제한다고 오픈AI는 밝혔다.
다만, 애플 인텔리전스와 타사 GPT는 데이터 레지던스 지원에서 제외된다. 또한 데이터 레지던스가 활성화된 작업 공간에 대해서는 GPT 공유 설정을 ‘모든 사용자’로 설정할 수 없다. 챗GPT 엔터프라이즈 및 챗GPT 에듀는 추가 비용없이 데이터 레지던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API 플랫폼은 지역별로 지원 모델, 요금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참고로 데이터 레지던시는 데이터가 생성된 국가 또는 지역의 법률에 따라야 한다는 데이터 주권(Data Sovereignty)을 달성하는 데 중요한 항목이다. 데이터가 생성된 국가와 지역에 저장되어 있어야 규정 및 규제, 법률적인 문제 등에 대한 관할권이 해당 국가나 지역에 있기 때문이다.
[email protected]
Read More from This Article: 오픈AI, 아시아 4국에 데이터 레지던시 도입··· 한국 기업 데이터는 한국 서버에 저장
Source: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