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이번 투자금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연구를 강화하고, 컴퓨팅 인프라를 대규모로 확장하며, 주간 사용자 수 5억 명에 달하는 챗GPT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투자는 소프트뱅크가 주도했으며, 다른 참여 투자자들은 공개되지 않았다. 소프트뱅크는 오픈AI와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는데, 올해 2월에는 일본 내 합작법인 ‘SB 오픈AI 재팬’을 설립했으며, 미국 내 AI 인프라 확장 프로젝트 ‘스타게이트‘도 함께 추진 중이다.
CNBC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소프트뱅크가 오픈AI의 영리 기업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이번 투자에 참여했다고 보도했다. 오픈AI가 연말까지 비영리 구조에서 영리 형태로 전환하지 않을 경우, 최대 100억 달러(약 14조 원)의 투자금이 삭감될 수 있는 조건이 설정됐다고 전했다.
구체적으로 소프트뱅크는 당초 이번 라운드에서 300억 달러(약 44조원)를 투자할 계획이었으나, 영리 전환이 무산될 경우 200억 달러(약 29조 원)로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반면 마이크로소프트 등 다른 투자자 컨소시엄은 1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유지할 것으로 전해졌다. 월스트리트저널도 이와 유사한 내용을 보도했다.
오픈AI는 블로그를 통해 “혁신 기술을 확장하는 방법을 소프트뱅크만큼 잘 이해하는 기업은 드물다”라며 “소프트뱅크의 지원은 AGI를 향한 길을 열어주는 AI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오픈AI는 같은 날, GPT-2 이후 처음으로 공개형 언어 모델을 수개월 내 출시할 계획도 함께 발표했다. 샘 알트먼 CEO는 X 계정을 통해 “추론 기능을 갖춘 강력한 오픈형 언어 모델을 곧 공개할 예정이며, 이를 최대한 유용하게 만들기 위해 개발자들과 논의하고 싶다”고 밝혔다. 피드백은 오픈AI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제출할 수 있다.
알트먼 CEO는 최근 챗GPT에 추가된 지브리 스튜디오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이미지 생성 기능이 주목받으며, 단 1시간 만에 챗GPT에 신규 사용자 100만 명이 유입됐다고 X를 통해 전했다.
[email protected]
Read More from This Article: 오픈AI, 소프트뱅크 주도 400억 달러 투자 유치··· “영리화 전제” 보도도
Source: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