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과 LG AI연구원은 최근 AI모델을 활용한 공동 연구에서 물질의 용해도와 안전성을 개선한 화장품 효능 소재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화장품 원료의 경우 물질 자체의 효능은 탁월하지만 용해도가 낮아 제품화가 어려운 성분들이 많은데, 이번 연구 성과를 토대로 최적의 효능 소재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LG생활건강은 피부 항노화 트렌드인 ‘스킨 롱제비티(Skin Longevity, 피부의 탄력, 활력 등을 포함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 건강을 유지하는 기술)’ 관점에서 AI 기반 고효능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화장품 원료를 개발할 방침이다.
또한, 이번 연구는 화장품 효능 소재 개발 과정에서 분자 단계부터 전체 연구 공정을 AI가 설계했다. LG 생활건강에 따르면, 기존 국내 화장품업계는 AI모델에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해 원료 소재를 분석하는 데 중점적으로 활용해왔다.
이번 AI 기반 화장품 효능 소재 연구에 쓰인 기술은 LG AI연구원의 신물질 발굴 특화 AI 모델인 ‘엑사원 디스커버리(EXAONE Discovery)’다. 양사는 엑사원 디스커버리가 물질의 분자 구조 데이터를 대량으로 분석해 각 물질 특성을 예측함으로써 연구에 활용할 후보 물질을 찾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었다고 전했다.
LG 생활건강의 기존 연구는 연구자의 경험과 논문에 의존하다 보니 후보 물질을 선정하는 데만 2년 가까이(평균 1년 10개월) 소요됐고, 다양한 실험 재료를 구매해야 하는 비용도 별도로 들어갔다. 반면, 이번 연구에서는 엑사원 디스커버리를 활용해 후보 물질을 발굴하는 데 하루(1일)가 걸렸다.
물질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도 엑사원 디스커버리가 활용됐다. LG 생활건강에 따르면, AI 시뮬레이션 단계에서 유해 성분 발생 가능성이 있는 물질을 사전에 검출하여 후보 물질에서 제외했다. 이를 통해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물질만을 선별함으로써 안전성 평가의 효율성을 높였다.
LG생활건강은 추가 연구를 통해 고효능 원료로 업그레이드하고 이르면 내년부터 자사 화장품 브랜드 ‘더후’에 첫 적용할 계획이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AI와 협업으로 피부 개선에 더욱 효과적인 혁신 제품을 선보일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AI 기술을 적극 도입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과 기술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Read More from This Article: “연구기간 1년 10개월→1일로 줄여”··· LG생활건강, AI 모델 활용해 ‘화장품 효능’ 소재 개발
Source: News